Loading…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을 통한 슬개-대퇴 관절 정렬의 분석

목적: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정상 한국인에서 슬개-대퇴 관절 정렬의 평균치를 알아보고 좌우 및 남녀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증상의 병력이 없으며 이학적 검사에서 정상 소견을 보인 한국 성인 남자 45명, 여자 45명, 180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2.2세(범위: 24∼66세)였으며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은 앙와위에서 슬관절을 15도 굴곡하여 시행하였다. 슬개-대퇴 정렬은 구각, 일치각, 슬개골 경사각, 후과-슬개골 간 경사각, 후과-대퇴외과 간 경사각을 이용하여 측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2008-06, Vol.20 (1), p.1
Main Authors: 이기원, Ki Won Lee, 최영준, Young Joon Choi, 안형선, Hyung Sun Ahn, 김정환, Chung Hwan Kim, 황재광, Jae Kwang Hwang, 하정기, Jung Ki Ha, 한희돈, Hee Don Han, 최지호, Ji Ho Choi
Format: Article
Language:Korea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Tags: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Description
Summary:목적: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정상 한국인에서 슬개-대퇴 관절 정렬의 평균치를 알아보고 좌우 및 남녀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증상의 병력이 없으며 이학적 검사에서 정상 소견을 보인 한국 성인 남자 45명, 여자 45명, 180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2.2세(범위: 24∼66세)였으며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은 앙와위에서 슬관절을 15도 굴곡하여 시행하였다. 슬개-대퇴 정렬은 구각, 일치각, 슬개골 경사각, 후과-슬개골 간 경사각, 후과-대퇴외과 간 경사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구각 평균치는 남자 145.9°±8.9, 여자 149.4°±9.7, 일치각은 12.6°±22.7과 12.0°±19.6, 슬개골 경사각은 9.9°±6.0과 8.5°±4.3, 후과-슬개골 간 경사각 중 facet angle은 14.2°±7.1과 11.8°±4.8, 후과-슬개골 간 경사각 중 axis angle은 -8.5°±7.7과 -10.6°±6.1, 후과-대퇴외과 간 경사각은 15.5°±7.6과 16.4°±4.0으로 측정되었다. 좌우 측정값 간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남녀 각각의 측정평균치는 구각과 후과-슬개골 간 경사각 중 axis angle이 남녀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정상 한국인의 슬개-대퇴 관절 정렬을 측정하여 한국 성인평균치를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슬개-대퇴 관절 부정 정렬의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ex- and laterality-specific patellofemoral alignment using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CT) in normal Korean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90 patients (45 men, 45 women; 180 knees) with no history of anterior knee pain or malalignment by physical examination. The mean patient age was 42.2 years (Range: 24∼66 years). 3D-CT scanning was performed with each patient in the supine position with 15° of knee flexion. Patellofemoral joint alignment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sulcus angle, congruence angl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 condyle-patellar angle, and condyle-lateral angle. Results: Comparing men and women, respectively, the sulcus angles were 145.9° ±8.9 and 149.4° ±9.7, the congruence angles were 12.6° ±22.7 and 12.0° ±19.6, th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s were 9.9° ±6.0 and 8.5° ±4.3, the condyle-patellar angles (lateral facets) were 14.2° ±7.1 and 11.8° ±4.8, the condyle-patellar angles (patellar axes) were ?8.5° ±7.7 and ?10.6° ±6.1, and the condyle-lateral angles were 15.5° ±7.6 and 16.4° ±4.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measurements between left and right knee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lcus angle and condyle-patellar angle between men and women (p<0.05). Conclusion: These data will hopefully serve as a basis for evaluating normal patellofemoral alignment and for diagnosing patellofemoral malalignment in Korean patients.
ISSN:2234-0726